세금 절세 팁126 상속세 과세가액은 어떻게 산정될까요? 상속세 과세가액이 되는 상속재산 가액은 어떻게 산정되는지 국세청 답변내용을 토대로 정리했는데요. 상속과정에 참고할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첫째, 상속세 과세가액을 산정할때 장례비로 지출한 금액은 얼마나 공제받아 상속세를 줄일 수 있을까요? 일반장례비는 지출증빙이 없어도 최소 500만원이 공제되며, 지출증빙이 있으면 최대 1천만원 까지 공제됩니다. 또한, 봉안시설이나 자연장지의 사용에 소요된 금액은 지출증빙이 있으면 최대 500만원까지 추가로 더 공제됩니다. (상속세 및 증여세법 시행령 제9조 제2항) 둘째, 피상속인이 살아 있을때 증여한 사전증여재산은 어느 범위까지 상속세에 합산과세하며, 만약 사전 증여받은 자가 먼저 사망한 경우에는 어떻게 되는지가 궁금한데요? 사전증여재산 합산과세는 피상속인 사망일 .. 2023. 11. 2. 상속세 납부의무 알아보기(1) 상속세는 상속재산가액에서 일정 금액을 공제하고 누진세율로 계산하는데요. 상속공제 한도 내에서 일반적으로 5억원(피상속인의 법적 배우자가 함께 생존해 있는 경우에는 10억원) 까지는 공제되어 상속세를 내지 않습니다. 그러면, 상속세는 누가 어떻게 부담 하는지 납부의무가 궁금한데요. 이에 대해 국세청의 답변내용을 토대로 정리했는데 이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첫째, 피상속인의 재산인 은행 계좌 등에서 인출한 금액 중 사용처가 미확인되어 상속인이 상속받은 것으로 추정된 추정상속재산은 누가 부담(납부)해야 할까요? 추정상속재산가액은 선순위 상속인이 법정상속분으로 상속받은 것으로 추정하여 그 선순위 상속인이 상속세 납부의무를 부담합니다. (상속세및증여세법기본통칙3의2-0-1 대법원2009두10208/.. 2023. 11. 1. 상속세 과세대상 이해하기(4) 근로자가 업무상 사망 또는 업무 외의 사유로 사망했을때 받는 유족보상금이나 유족위로금 또는 국민연금법 상 유족연금 등은 상속세가 어떻게 될까요? 이에 대해 국세청의 답변내용을 토대로 이해를 돕기 위해 정리했습니다. 유족보상금 등의 상속세 과세대상 여부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첫째, 근로자가 근무 도중 사망하여 유족이 회사로부터 보상금을 받았다면 상속세가 과세될까요? 근로자의 업무상 사망으로 인하여 사업자가 근로기준법 등을 준용하여 그 근로자의 유족에게 지급하는 유족보상금 등은 상속세 과세 대상이 아닙니다.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10조 단서) 이는 교통사고 가해자측으로부터 수령한 위자료 성격의 합의금이나 보상금 등이 상속세 과세대상이 아닌 것과 같은 맥락이라고 보면 되겠습니다. 둘째, .. 2023. 10. 30. 상속세 과세대상 이해하기(3) 각종 보험금은 상속재산으로 얼마나 포함될까요? 또 피상속인의 교통 사고로 인한 합의금이나 보상금, 사인증여에 인한 증여액은 상속 재산에 포함될까요? 여기에 대한 해답을 국세청의 답변 내용을 토대로 정리했는데요. 언젠가 누구나 겪게 될 상속과정에 참고할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첫째, 보험금을 지급받았을 때 상속세 과세대상이 되는 상속재산 가액은 어떻게 산출할까요? 상속재산으로 보는 보험금 가액은 보험금의 총 합계액 중 피상속인이 부담한 보험료분 만큼의 보험금을 환산해 산정합니다. 계산식으로 보면 지급받은 보험금의 총 합계액 ×(피상속인이 부담한 보험료 금액/해당 보험계약에 따라 피상속인의 사망 시까지 불입된 보험료 총 합계액)입니다. (상속세 및 증여세법 시행령 제4조 제1항) 둘째, 상속인이 피상속인의.. 2023. 10. 26. 이전 1 ··· 12 13 14 15 16 17 18 ··· 3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