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금 절세 팁126

상속세 납부의무 알아보기(2) 누구나 언젠가 한번 이상은 상속 절차를 겪게 되는 것이 사실인데요. 상속세 납부의무가 어떻게 되는지 국세청의 답변내용을 토대로 정리했는데 참고해 둘 필요가 있겠습니다. 첫째, 상속재산에 가산된 사전증여 재산만 있는 상속인의 상속세 연대 납부 한도는 어디까지 일까요? 이는 상속재산에 가산된 사전증여 재산가액에서 그 사전증여재산에 대해 납부한 증여세액을 차감한 후의 가액을 한도로 하여 상속세 연대납부의무를 지게 됩니다. (대법원2016두1110/2018.11.29) 즉, 상속인이 상속개시일(사망일) 로부터 10년 이내에 피상속인으로 부터 사전증여받은 재산(기납부한 증여세액 차감) 범위 내에서 상속세 연대납부의무를 진다는 의미입니다. 둘째, 상속재산에 가산된 사전증여 재산만 있는 상속인(수유자 포함) 외의 자.. 2023. 11. 10.
상속절차에서 언제 무엇을 해야 할까?(2) 지난 1편에서 상속개시일(사망일)로부터 1개월 이내에 무엇을 해야 할지 정리해 봤는데요. 그러면, 3개월 이내 등 그 이후에는 무엇을 해야 할지 알아보겠습니다.언제 있을지 모를 상속과정에서당황하지 않도록 정리해 두고 참고할 필요가 있습니다.첫째, 3개월 이내에 예금이나 보험금 지급 청구를 하고 금융거래 상세내역을 준비해야 합니다.1편에서 언급한 '안심상속원스톱서비스'를 이용해 파악한 예금 등이 예치된 금융기관에 관련서류를 갖고 찾아가 상속인임을 입증하고계좌를 받아 와야 합니다.이때, 금융기관에서 피상속인의10년치 계좌내역을 받아와야 하는 일이 아주 꼭 필요합니다.상속이 개시되면 사망일 전 10년 이내 상속인(상속인이 아닌 자는 5년)에게 사전증여한 재산을 상속재산에 더해 상속세를 계산하고 기납부한증여세는.. 2023. 11. 8.
상속절차에서 언제 무엇을 해야 할까?(1) 상속절차는 누구나 언젠가 겪게 되는데 막상 갑자기 닥치게 되어 당황스러울 수 밖에 없습니다.사망이 발생하게 되면 상속과정 등을 대비해 어떤 일을 해야 할지 순서대로 정리했는데, 참고해 둘 필요가 있겠습니다.첫째, 장례식장을 정해 빈소를 마련하면서 사망진단서 및 사체검안서등을 수취해야 합니다.언제 돌아가셨는지, 병명은 무엇인지등을 확인할 수 있는 서류가 추후에상속세 신고시 필요한 기초자료가되고 피상속인의 재산을 파악하는증빙서류로서도 중요하게 필요하기 때문입니다.또한, 장례식장에서 사용한 비용에 대한 영수증을 확실하게 챙겨 두었다가 추후 상속세 신고를 할때상속재산에서 장례비용으로 공제를 받아 상속세를 경감하게 됩니다.둘째, 가까운 시군구청 또는 읍면동주민센터(행정복지센터)를 방문해사망신고를 해야 합니다.이는.. 2023. 11. 6.
배우자 상속공제액은 어떻게 정해질까? 예를 들면, 아버님이 작고하셨는데 어머님이 살아 계신다면 상속공제를 얼마나 받을 수 있을지 궁금한데요. 언젠가 겪게 될 상속과정의 배우자 상속공제에 대해 국세청의 답변을 토대로 정리했습니다. 첫째, 거주자의 사망으로 상속이 개시되는 때(상속개시일)에 상속재산 중에서 배우자 상속공제는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요? 피상속인(사망인)의 배우자가 생존해 있다면 배우자 상속공제로 최소 5억은 공제되는데, 배우자가 실제 상속받은 금액이 5억원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일정 한도 내에서 최대 30억원까지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19조) 이때, 피상속인의 배우자가 상속을 포기하거나 5억원 미만으로 상속 받는 경우에도 배우자 상속공제로 최소 5억은 공제됩니다.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19조 제4항) 마찬.. 2023. 11. 3.